========================================
[시놉시스]
지킬 게 생긴 킬러 VS 잃을 게 없는 킬러
40여 년간 감정 없이 바퀴벌레 같은 인간들을 방역해온 60대 킬러 ‘조각’(이혜영).
‘대모님’이라 불리며 살아있는 전설로 추앙받지만
오랜 시간 몸담은 회사 ‘신성방역’에서도 점차 한물간 취급을 받는다.
한편, 평생 ‘조각’을 쫓은 젊고 혈기 왕성한 킬러 ‘투우’(김성철)는
‘신성방역’의 새로운 일원이 되고 ‘조각’에게서 시선을 떼지 않는다.
스승 ‘류’(김무열)와 지켜야 할 건 만들지 말자고 약속했던 ‘조각’은
예기치 않게 상처를 입은 그날 밤, 자신을 치료해 준 수의사 ‘강선생’(연우진)과
그의 딸에게 남다른 감정을 느낀다.
‘투우’는 그런 낯선 ‘조각’의 모습에 분노가 폭발하는데…
삶의 끝자락에서, 가장 강렬한 대결이 시작된다!
[출연/제작진]
감독 - 민규동
주연 - 이혜영(조각), 김성철(투우), 연우진(강선생), 김무열(류), 신시아(어린 조각), 옥자연(초엽)
특별출연 - 김강우(손실장), 최무성(장비)
[기본정보]
개봉 - 2025.04.30.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장르 - 액션, 드라마, 미스터리
국가 - 대한민국
러닝타임 - 122분
배급 - (주)NEW
원작 - 소설 (구병모 - 파과)
========================================
민규동 감독이 모에를 모르는 쪽은 아니라 생각했는데 이런 쪽 모에는 또 모르네. 뮤파과에 비하면 조각이 좀 더 살아있긴한데 또 여기는 과하게 휴머니스트라 내용을 과하게 건드렸는데 그게 버석한 삶 속 한줄게 햇살을 없앴다. GL도 아니고 워맨스를 너무 좋아하셔서 축축해진 부분도 있고. 아쉽네.
나를 알아봐 준 사람과 나의 아픔을 건드리는 사람 쪽이면 당연히 전자에 맘이 쏠릴 수 밖에 없는 거긴 한데 이게 강선생과 투우에 적용을 해버리면 좀 재미가 없어지는 거죠. 이혜영 배우의 원톱 물로서 아슬아슬하게 비중이 유지되기는 하는데 각색과 연출을 한 감독이 투우를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하겠다고 만들어놓은 방향성이 내 취향도 전혀 아니고 이야기 속에서 그럼에도 어린애들에게 약한 조각의 상황과 안 맞는 부분도 있고, 방역 업체가 정말 사회악을 쓸어버리려는 선량한 의도가 있었다는 듯한 뉘앙스는 솔직히 내 취향적으로 최악의 각색 포인트임. 대모님 존경하는 무리가 있는 듯이 해놓고 마지막에 돈 준다고 판 짜놓은 거에 다 참여하는 놈들이 전부 이상해지잖아요. 그래봤자 사람 죽이는 청부살인업자들인 뿐인데 이것도 저것도 다 그냥 애매하게 건들이고.. 조각이 스스로에게서 느낀 한계는 무뎌진 마음이었는데 실제로 손이 떨리는 걸로 신체적 한계가 온 걸 넣어버리면 너무 좀 그렇잖아요. 시작부터 은퇴가 너무 당연한 거 같고... 소설 원작 스토리 라인이며 설정이 이미 굉장히 영화적인데 왜 뮤도 영화도 진짜 2차 제작이 들어가면 과하게 손들을 대는 걸까. 뮤는 투우의 성애에 너무 몰입을 해서 문제였는데 영화는 또 그 성애를 너무 이해 못 해서 조각-강선생, 조각-투우 다 너무 엇나가서 아이고야 싶어지는... 아 진심 마지막에 과일가게에 꽃 남겨져있는 건 솔직히 너무 나갔음. 해피랜드 추가 떡밥도 그만해 싶었는데 하ㅠㅠㅠㅠ
그럼에도.. 클럽에서 소화기 분사할 때까지 아 이렇게 액션 날로 먹으려고 하다니 비겁하다라고 생각했는데 마지막 액션씬 밝은 곳에서 생각보다 잘 나와서 걍 어느 정도의 만족을 하는 걸로 하련다.
하.... 그게 많이 어렵나. 원작 소설 이야기로 그대로 가는 게. 이제는 나는 다 바랬다고 생각했는데 아니라고, 지금의 나는 지금 이 순간 제일 반짝인다고. 그걸 잊고 산 건 나였다는 걸 깨닫는 이야기를 그대로 가져가는게...
나도 그렇게까지 변태는 아닌데 민규동 감독이 동인남은 맞아도 변태가 아니라 너무 건전한 취향이셔서 조각에 대한 투우의 질척임을 너무 예쁘게 풀어놔서 별로일 건 예상을 못 했는데 좀 웃기다ㅎㅎ 오타쿠들아 제발 현실을 살아야합니다하고 셀프 디스하는 쪽인데 이건 또 너무 안 오타쿠ㅋㅋ
사실 캐스팅 발표 면면 보면서 처음에 김강우가 투우해야하는 거 아닌가? 실제 나이 말고 성철이 얼굴이 너무 귀염상인데요?싶었는데 영화 속 투우가 성철이 이미지가 맞음ㅋㅋㅋ 어린 시절 한 순간에 사로잡혀서 질척하게 노인이 된 상대한테도 성애적으로 집착하는 변태가 아니라 어린 시절의 열망에 사로잡힌 청년이네요. 잘못 자라버린... 거기에 대해서 조각이 그 애를 그때 자기가 류에게 그렇게 양육되었듯이 그 애를 데려가지도, 기억하지도 못 했던 것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투우와 조각의 마지막 씬이 만들어지는 게 참으로.. 별로였다. 아무리 그래도 뮤보다는 조각이 살아있긴한데 이런 방향이면 왜 기억도 못 할 거면서 더 강해지면 같은 말은 왜 남겨요 같은 구석이 생기는 게 별로이고 굳이 조각이 투우의 장례 챙겨주게 되는 것도 별로고요. 그냥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모르면 좋았을 것을 이미 중간에 그 애인 걸 알아차린 것도 별로고 하ㅠ 그리고 이걸 보여주는 구성이 부드럽지 못한 것까지 솔직히 다 별로임. 요즘 방송이고 영화고 왜 이렇게 다들 이야기를 뚝뚝 끊어놓는 거지? 애초에 그렇게 촘촘하게 이야기 꾸리는 사람은 아니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적어도 산발적이라는 생각은 안 들었었어. 별로다 참. 영화가.
뮤파과는 투우의 이상성애를 너무 잘 이해하는데 그런 기이한 성애와 그걸 갖고 있는 투우라는 젊은 킬러에게 과하게 꽂혀서 투우 분량이 넘쳐서 문제였는데 영화 파과는 투우의 성애를 이해를 완전히 못 해서 설명을 한답시고 방향을 틀고 살을 붙여서 또 분량이 생김. 그 와중에 방역업 허울 좋은 말장난이고 결국 사람 죽이는 일일 뿐인 걸 주인공이 그냥 나쁜 일 하는 거 못 견디겠어서 세상의 쓰레기 청소를 하는 일을 해온 거라고 뭘 추가해가지고 그냥 다 좀 이상해짐. 진짜 세상 쓰레기 청소를 하는 착한 일이면 죄없는 사람한테 정체 들켰다고 무조건 왜 죽이는 게 당연함? 모순 극복 못 함. 내가 그냥 살아간 순간들이 별 것도 아니고 그저 살기 위해 그래왔다고 지나온 순간들이 나는 몰랐지만 그 순간마다 그때 가장 반짝이는 시간들이기에 더 부서질 뭉그러질 훗날 대신 지금의 나를 사랑하는게 맞다는 걸 깨닫게 된 60대 노인 여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게 그렇게나 어려운 걸까. 그게 누군가에 의한 게 아니라 누군가의 시선으로 알게 된 게 아니라 그저 스스로 알게 되는 그 미묘한 결이 원작에서 소설이기에 잘 전달될 수 있던 건 맞긴한데 무용이의 이름을 지어준 게 강박사가 되면 애초에 그걸 다 포기하고 가겠다는 게 되잖아요? 세상에 날 알아봐줄 존재가 있었다 같은 거 필요없이 그냥 조각이 스스로가 누군가와 상관없이 오롯이 난 지금이 가장 빛나는 순간임을 알게 되는 거라고. 누군가와 관계가 생겨서도, 그 사람이 하는 일이 세상에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어서도 아니고.. 그냥 사람은 언제나 지금이 가장 살아가는 순간 중에서 가장 빛나는 거고 그걸 알게 된 조각이 오롯이 나의 삶의 햇살을 쬐는 순간이 너무 좋았는데 하... 영화가 너무 질척거리는 끝을 내놔서 별로다.
마지막 씬에서 조각의 타깃이 되는 인물이 사이비 교주적인 면모의 목사놈인 거 진짜 좀 너무 과하지 않니? 남의 목숨 뺏는 일하면서 평생을 살았어도 내가 겪는 노화와 죽음 앞에서 흔들리는, 그럼에도 결국 묵묵히 살아가기를 결심하면서 반짝이게 되는.. 그 순간을 살려주는 이들이 아무도 없네.
이혜영 배우 특유의 날선 예리함과 지워지지 않는 우아함이 아무리 노화했다고 하더라도 몸 자체가 잘 벼려진 칼이기에 묘한 긴장감을 전달해주는 60대의 여성 킬러라는 캐릭터 그 자체라서 영화 전반적 분위기가 투머치한 걸 오히려 눌러주는 게 있어서 다행이었다. 조각 캐스팅 하나만큼은 잘 함.
-------------------------------------------------------------
열받아서 탐라에 고래고래 소리질러둔 거 이어두기...
(+).....약간 (아니 사실 많이) 짜증나려고 해. 뮤는 애초에 분량이며 순서며 투우를 너무 많이 살려놔서 열받게 하더니 영화도 투우 분량 너무 많은데 싶었는데 감독이 저렇게 생각한다는 게ㅋㅋㅋㅋㅋ 어느 원톱물에 대립각 인물이 저만치 나오죠? 올드보이/아저씨 보고 오실래요? 원톱치고 조각 분량 영화에서 엄청 적거든요?? 솔직히 투우 같은 캐릭터는 그렇게까지 충분히 스트리트 파이터에 해피랜드까지 넣어줄 이유가 전혀 없는데 집에서 밥도 먹여줄 정도로 분량 폭발적으로 줘놓고 뭔 소리야 진짜ㅋㅋㅋㅋㅋㅋ 아 너무 열받아ㅋㅋㅋ 영화 뮤보다 나은 거지 원작보다 되게 별로거든?ㅋㅋ 대기 하는 게 안쓰러우면 대기 콜 시간을 좀 더 촘촘하게 잘 짜서 덜 기다리게 하던가요?ㅋㅋㅋ 난 솔직히 엔딩 크레딧에 성철이 노래 나오는 것도 그래.. 뮤배 캐스팅해놓고 노래도 잘하니 쓰고 싶었나봐 생각하면서도 아니 근데 굳이 왜 싶었건만 민규동이 남배가 서브롤인 거에 저렇게 안쓰러워하는 종류의 사람이었다니 진짜 너무 실망스럽네ㅋㅋㅋㅋㅋㅋ 진짜 딱 빛내주는 정도의 분량이면 또 모를까 조각-투우 관계성 엄청나게 추가해서 퍼줘놓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열받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거 보고 화냈어요ㅠ
-파과는 조각의 이야기고 혜영쌤이 어려운 액션 연기를 소화하다보니 투우는 늘 가장 길게 대기하고 적은 기회 속에서 최선의 연기를 함
-조각을 빛내기 위한 존재로서의 캐릭터 정체성을 잘 알기 때문에 운명처럼 받아들이고 불편함 내색 없이 묵묵히 해냄
안 좋은 얘기로 쓰는 거라 인용으로 출처달기 죄송해서 @@@ 주소에 넣었습니다ㅠ
출처 - htt@@@ps://x.com/justksc/status/1923173972801159353?t=Y5VuEUkCYpByYoza3t7VoQ&s=19
----------------------------------------------------------------
뮤파과를 자둘자막하면서 이렇게 써놨는데.. 영화도 조각투우 로맨스에 너무 집착하고.... 어둡고 날서게 뽑히지를 않아서 슬프다.
'* >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506 영화 콘클라베 (메가박스 마곡 5관) (0) | 2025.05.31 |
---|---|
20250304 영화 퇴마록 (메가박스 마곡 5관) (0) | 2025.03.05 |
20250127 서브스턴스 (메가박스 마곡 1관) (0) | 2025.01.28 |
20241113 연소일기 (롯데시네마 김포공항점 2관) (0) | 2024.11.15 |
20241020 엘리자벳: 더 뮤지컬 라이브 (메가박스 이수 4관) (0) | 2024.10.21 |
20241016 엘리자벳: 더 뮤지컬 라이브 (메가박스 목동 Dolby Atmos관) (0) | 2024.10.18 |
20240709 영화 인사이드 아웃2 (in CGV 용산아이파크몰 13관) (0) | 2024.07.12 |
20240301 영화 파묘 (in 롯데시네마 신림 6관) (0) | 2024.03.01 |
20231216 영화 서울의 봄 (용산 CGV 4관) (0) | 2023.12.24 |
드라마 마스크걸 (0) | 2023.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