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트
이준희 역 - 강병훈
최정우 역 - 이석준
이연희 역 - 임하윤
======================================================
[시놉시스]
상실의 시대, 1940년대 일제 강점기.
부모를 잃고 과자점에서 일하고 있는 '준희'는 저녁마다 번역 일을 하고 있다.
문학적 감수성과 언어적 능력을 가졌으나 꿈을 포기하고 어린 동생 '연희'를 위해
돈을 벌며 살아가는 '준희' 앞에, 자신의 시집 출판을 도와달라는 '정우'가 나타난다.
'정우는'는 조선어로 쓴 그의 시를 훼손되지 않게 지키고 싶다.
"잃어버렸으면 말해야지. 그래야 존재하지."
'정우'에게 이끌린 '준희'는 점차 시의 세계에 매료되고, 그와 함께 시를 쓰기 시작한다.
"네게도 목소리가 있을까. 깨지 않는 꿈이 있을까."
한편, '정우'의 시는 조선인 학생들과 '연희'의 마음에 위로와 힘을 주지만,
조선어학회 사건이 터져 학회 선생님들이 줄줄이 검거된다.
이에 대한 부당함과 조선어가 사라질 위기감을 느낀 정우는
조선어를 지키기 위해 학생 모임을 시작하려 하는데....
무엇도 지킬 수 없는 상실의 시대, 두 사람의 청춘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
어휴 캐슷 착각한 거 알게 됨. 다시 쓰자 타래!
아무래도 배우들 잡아야 하니까 뒤에 시들 스크린에 나오는 거 안 잡히는 구나ㅠㅠ
ㅋㅋㅋ앗 석준이 진짜 모자챙 그림자에 눈이 안 보이네ㅋㅋㅋㅋ
연희야 하며 내적 울음 쏟는 와중에 석준정우 날 삼켜도- 소리가 너무 좋아서 감탄함 오
준희가 연희를 보면서 동생과 함께 할 삶을 꿈꾸며 미소 짓는 거 보면 너무 울컥 해ㅠ 겨우 하루하루 살아가는 준희의 꿈은 오로지 연희라는 게 너무 아파ㅠ 연희가 준희의 꿈을 묻고 그 아이만의 삶을 묻고 엄마랑 아빠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하고.. 자신 말고 준희의 삶 또한 그답게 행복하길 바라며 물어오는 것도 같은 결이라 이 남매가 서로를 너무 사랑해서 눈물나ㅠ 끝없이 나오는 '무용하다'라는 단어가 먹고 사는 것에는 시 한 줄을, 문학을, 내 진정한 자아를 생각하는 게 사치라고 여기지만 사실 진실로 바라는 건 온전히 영혼이 빛나는 내가 되는 것이라는 걸 준희의 첫 솔로 넘버부터 압축적으로 그려내는 거 너무 좋지ㅠ
병훈준희랑 석준정우 또래에 가까워서 그런가 둘이 첫 만남에 서로 떠보며 신경전 벌이는 게 좀 더 부딪치는 느낌이네ㅋㅋ 석준정우가 일단 준희에게 마음을 덜 여는 게 제일 큰 거 같기도 하고ㅎㅎ
석준정우 좀 시니컬한 느낌이 강하다 초반은? 신기해라 미친 사람보다는 예민하고 날선 느낌이 크네 낭만보다는 날선 외로움이 보여
오빠가 듣지 못 하는 말이니 사실 혼나는 게 무섭다는 말을 하는 것 같은 은영연희가 아리게 아프다면 하윤연희는 좀 더 솔직하게 오빠한테 어리광부리는 느낌이라 에구ㅠ하며 울컥해ㅠ 어쩜 둘다 이렇게 잘하고 근데 다르게 잘해서 다양하게 슬프게 해ㅠㅠ
병훈준희랑 하윤연희가 확실히 더 동질의 남매임ㅋㅋㅋㅋㅋ 속이 좀 더 투명하다ㅋㅋㅋ 입덕 부정이나 슬픔 회피 등 감정을 굳이 숨기려는 게 없는ㅋㅋㅋ
정우들이 다 팔척이라 연희들 왈츠 출 때 힘들지ㅋㅋㅋㅋ 파트너가 너무 높아요ㅋㅋㅋㅋㅋㅋ
상준정우는 햄릿 이야기가 통했다고 느낀 순간에 준희에게 맘을 열었는데 석준정우는 지금 시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비로소 맘이 열리는 게 보이네ㅎㅎ 그냥 영어 잘하고 문학적 소양 있는 사람을 넘어서 내 시어의 특별함을 이해하는 진짜 친구로 이제야 여기네ㅋㅋㅋ
확실히 그동안 해온 역할의 결이 배우한테 반영이 되는 구나ㅋㅋㅋ 석준정우 화이트 비지터여....
병훈준희가 크고 작게 보이는 정우에 대한 선망의 표현이 참 다시 봐도 좋네. 무슨 24살이 연기를 이렇게 잘해? 또래의 부유한 대학생의 삶에 대해 질투하는 게 아니라 그의 자유로움과 그가 노래하는 시적 감수성에 대한, 자기 역시 사실 바라는 삶에 대한 선망이라는 걸 너무 오해없이 전달해
연희가 자기 시를 좋아한다는 거에 기뻐하는 거 정우들 다 예쁘구나ㅎㅎ 난 연희가 행복해서 그리고 기뻐ㅠ 드디어 마음을 위로할 글자들에 벅차오른 연희의 눈빛에 내가 울어ㅠ
연희는 어쩜 저럴까 누구도 울지 않는 밤을 꿈꾸다니.. 어떻게 이렇게 천사야ㅠ
난 정우 자체가 좋은 거구나ㅠㅠ 사실 겁나고 두렵지만 지금 겪고 있는 작은 행복을 계속 이어가고 싶지만 그렇게 뒤에서 존재를 숨기고 시를 쓰며 숨어사는 것 만으로는 안 된다는 깨달음으로 두려운 햇살 앞에 서겠다는 영혼을 가진 이를 어찌 안 사랑해ㅠ
그곳에서 넘버 배경 물그림자인 거 진짜 너무 간악해ㅠㅠ 맘 찢어진다고.........ㅠㅠ
무용한 것 리프라이즈 전에 연희 란도셀 끌어안고 주저앉아 있는 준희 등 뒤로 빛으로 난 길을 정우가 걸어와 준희를 구할 글을 놓고 가는 거, 결국 정우가 준희를 끌어낼 빛임을 보여주는 거 참 좋지.
나 사실 연희들이 저 의자 올라갔다 내려오고 할 때 혹시나 미끄러지면 어쩌지 걱정 됨.. 미끄럽지 않게 잘 해놓으셨겠지만서도 또 너무 높지는 않을 지도 걱정 되고ㅠㅠ 우리 연희들 절대 다칠 일 없길ㅠㅠ
자기 말이 비틀어지는 과정에서 괴로워하는 정우를 보고 있으면 정우야.. 네가 무슨 말을 했든지 다 비틀어서 핑계로 썼을 거라고 말해주고 싶어져ㅠ 네가 말을 잘못한 게 아니야ㅠ
거짓말을 해에서 사랑이 끝내 날 죽이고 말 테지만 준희 목소리로 다시 부르는 거 진짜 극악하고 너무 좋아ㅠ 선생님들의 죽음에 실의에 빠진 정우는 준희가 네 글이 날 살렸다는 말을 듣지 못 하고 자기가 잃은 사람들 생각에 분노하고 있지만 사실 그가 살린 이가 그의 앞에서 열렬히 영혼의 구원을 노래하며 너의 모든 글과 마음은 절대 헛되지 않았다 끊임없이 전하는 순간이 너무 아름다워ㅠ 정우가 훗날 다시 떠올리면 깨닫게 될 그의 시들이 절대 무용하지 않은 순간...
상실하는 밤 맆에서 준희가, 찰나의 순간들에서 준희와 정우가 서로의 글의 빈 칸을 채우는 거 너무 엄청난 영혼의 공명이라 슬픈 씬들인데도 벅차. 사실 내가 쓴 글도 한 번 날리면 다시 쓰기가 어려운 건데 다른 이의 마음을 얼마나 깊이 이해하기에 찢겨진, 가려진 부분을 채울 수 있는 거야ㅠ
무명, 준희 지루하다는 평 있는 거 진심 이해를 못 하겠어.. 나 지금 벌써 여기라고 되어서ㅋㅋㅋㅋ 이제 넘버 3개 남음 말도 안 돼ㅠㅠ
석준정우 초반에 벽 세우고 있던 게 강해서 부치지 못 한 편지에서 부서지는 낙차가 더 크네 이렇게 자기가 무너질 것이 두려워 세상을, 사람을 경계한 거구나.. 이 장면이 준희가 편지를 읽으며 상상하는 정우의 모습이라지만 글 속에 담긴 정우의 심리니까 난 그냥 그대로 보게 된다ㅠ
정우들... 너무 가여워 자기 죽일 조서에 서명하라고 더는 누군가의 목숨을 잃고 싶지 않아서 준희에게 살기 위해 서명하라고 계속 애원하는 거 상실의 고통을 견디지 못 하는 어린 영혼 안쓰러워ㅠ 자신이 구하는 영혼보다 눈 앞에서 사라질 목숨이 더 두려운ㅠ 하지만 준희는 이미 연희를 잃었는 걸 삶의 목적이 이미 사라진 상태에서 겨우 너의 시를 통해 일어섰고 그 시를 통해 찾은 스스로의 진심을 지키는 것만이 그 애가 진정으로 사는 거인 걸ㅠㅠ
밤하늘이 안고 있는 것들 리프라이즈를 여는 연희의 말들은 실은 정우가 꿈꿨던 연희의 말들이겠지. 이런 말들을 들려줄, 자신에게 끊임없이 물어왔던 편지 속 연희의 말들로 그려낸 살아있다면 말 걸어올 연희의 말들ㅠ 아직 연희를 놓지 못 하여 그런 준희에게 상상 속 연희가 '오빠가 놓아줘야지' 할 때 결국 이어질 깨달음이 나의 마음이 살아있다면 나는 남아있다는 거여도, 연희를 못 놓는 건 그럼 자신에게 아무 것도 남지 않는다 말하는 준희의 마음은 정말 연희가 그 아이의 세상의 모든 것이었기 때문인 게 맞아서 진짜 너무 슬퍼ㅠ 하지만 결국 마음 속 연희로 인해 준희는 스스로가 갖혀있던 연희가 떨어진 우물의 세상을 벗어나게 되는 게 사각형 취조실의 바닥 조명이 연희가 걸어나가는 것과 함께 사라지게 되는 걸로 표현될 때 연희가 결국 준희를 다시 살린 것이라는 게 너무 좋아ㅠ
잃어버렸으면 말해야지. 그래야 존재하지.
이 극을 관통하는 문장이기도 하지.
두렵다고 숨지 말고 스스로를 온전히 얘기하자고.
두려움에 말도 못 하고 나를 뺏기지 말자고.
아 진짜... 무슨 극이 이렇게 아름답고 그래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안녕 우리 인사할까
라는 말이 이제는 진짜... 눈물 버튼 될 것 같아
'공연 >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322 뮤지컬 지킬앤하이드 낮공 (0) | 2025.04.11 |
---|---|
20250316 뮤지컬 베르테르 밤공 엄기준 이지혜 박재윤 류수화 김이담 (0) | 2025.03.17 |
20250312 뮤지컬 랭보 낮공 김리현 안재영 박영빈 (0) | 2025.03.14 |
20250228 뮤지컬 무명, 준희 (0) | 2025.03.03 |
20250220 뮤지컬 베르테르 (0) | 2025.02.23 |
250216 뮤지컬 고스트 베이커리 낮공 (0) | 2025.02.23 |
20250215 뮤지컬 무명, 준희 밤공 (0) | 2025.02.23 |
20250212 뮤지컬 베르테르 밤공 (0) | 2025.02.23 |
20250209 뮤지컬 베르테르 밤공 (0) | 2025.02.10 |
20250130 뮤지컬 베르테르 낮공 (0) | 2025.02.10 |
댓글